서울 명동 서울대교구청에서 열린 ‘정전 70년의 한반도와 우크라이나 전쟁’ 세미나에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김병로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한반도 정전체제 극복을 위해서는 공감 안에서 화해를 시도하는 종교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정순택 베드로 대주교)는 3월 30일 서울 명동 서울대교구청에서 ‘정전 70년의 한반도와 우크라이나 전쟁’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평화나눔연구소 창립 8주년을 기념해 열린 세미나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본 한반도 화해의 길’, ‘한반도 정전체제 극복을 위한 평화의 길’ 등 두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황과 평화 해결 가능성’, ‘포스트-우크라이나 전쟁 시대 세계질서의 전환과 한반도에의 함의’를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자로 나선 천자현 연세대 교수는 “아직까지 양국 모두 협상과 양보의 입장이 없는 가운데 전쟁 종결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이 크다”고 말했고, 백준기 한신대 교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장기간 이어진 평화가 끝났다는 시대적 징표가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며 “종교와 학계 모두 과거를 회고하고 앞으로의 평화를 성찰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통일연구원 현승수 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변화에 대해 “전쟁 이후 러시아는 세계 질서에서 고립되고 북한과 러시아가 서로를 원하는 관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북·중·러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한반도도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켜보며 정전 체제 70년을 맞은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도 두 번째 세션에서 논의됐다.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는 “지난 70년간 남북관계는 뒷걸음질만 치고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며 “이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아이디어를 함께 나눠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김병로 교수도 정전체제에서 평화체제로 가기 위한 구상이 없었음을 비판하며 “남북의 화해를 위해서는 나의 피해만이 아니라 상대의 피해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종교의 역할이다. 김병로 교수는 “어느 일방의 선제적 양보와 수용이 없이는 적대적 관계 해소가 불가능하다”라며 “그런 의미에서 공감을 바탕으로 화해를 시도하는 종교의 역할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