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등단 여성작가 김명순의 희곡 ‘의붓자식’, 각색·연출한 윤사비나 대표
“존재를 부정 당하는 소수자의 삶 전하고 싶었어요”
1923년 작품… 100년 만에 무대에
자가면역질환으로 투병해 온 윤 대표
5년 여간 각색하고 사비로 작품 제작
윤사비나 대표. 문화다방 이상한 앨리스 제공
“김명순은 차별과 혐오 속에서 스러져가는 자기 삶을 희곡에 담았어요. 저는 그게 100년 전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여성들에게 여전히 적용되는 이야기이고, 더 나아가 소수자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힘없는 이들의 꿈과 외침이 더는 무시당하지 않는 세상을 그리며 만든 작품인 거죠.”
‘문화다방 이상한 앨리스’ 윤사비나(사비나) 대표에게 연극 ‘의붓자식’을 연출한 이유를 묻자 이 같은 답이 돌아온다. ‘의붓자식’은 국내 최초 등단 여성 작가인 김명순(1896~1951)이 쓴 희곡이다. 11월 3~5일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초연됐다. 1923년 창작된 후 꼭 100년 만이다.
김명순은 문학가이자 번역가, 매일신보 기자였다. 빛나는 재능을 가졌지만 기생 출신 첩의 딸이고 강간을 당한 적이 있다는 이유로 문단에서 외면당했다. 쫓기듯 일본으로 건너가 정신병원에서 쓸쓸히 생을 마감한다. 윤 대표는 “오해와 편견 속에 능력을 펼치지 못한 김명순의 작품을 무대에 올려 역사에서 지워진 한 페이지를 살려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의붓자식’은 아버지의 중혼으로 의붓 자매가 된 세 딸의 이야기다. 주인공 ‘성실’은 신여성이다. 가부장적 시대에 저항하며 여성의 권리와 자유를 외치지만 세상의 손가락질을 받으며 병들어간다. 김명순의 자전적 이야기다.
윤 대표는 5년 동안 작품을 제작했다. 김명순의 수필과 시를 현대어로 번역하며 파고들었고, 그 안에서 작가의 감정선을 이해하며 각색 완성도를 높여갔다. 연극은 윤 대표의 사비로 제작했다. 이번이 아니면, 이 작품은 향후 100년 동안 무대에 오르지 못할 것 같아서였다.
“지금 제 삶, 여성들의 삶과 닮아 있어서 이 작품을 놓지 못했어요. ‘의붓자식’은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부정당하잖아요. 저도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만으로 ‘잘못’이 될 때가 있어요. ‘비상업적 예술을 한다고? 아직도 철이 안 든 거냐’, ‘많이 버는 것도 아니면서 집에서 애들부터 키워라’ 하는 말을 끝없이 들어요. 저는 자가면역질환자라 소수자이기도 한데요. 소수자가 꿈꾸는 주체적인 삶을 열린 마음으로 보지 못하는 사회도 100년 전과 같아요.”
윤 대표는 2001년 데뷔했지만, 20대 초반부터 자가면역질환으로 투병했다. 전신탈모가 진행되고 근육이 파열되면서 활발한 배우 생활을 할 수 없었다. 20대 내내 집에 머물며 쏟아낸 자신의 이야기를 작품화하며 연출가의 길을 걷게 됐다.
투병은 윤 대표를 신앙으로도 이끌었다. 당시엔 병명을 몰라 주위에선 신내림을 받으라고 했다. 그러나 윤 대표는 문득 성당에 가야겠다고 결심, 27살에 세례를 받았다. “신앙 안에서 제 한계와 존재 의미를 찾고자 했던 것 같아요. 영화 ‘사도’와 ‘나랏말싸미’ 등 2000년대에 나온 영화와 드라마 속 스님 역은 거의 제가 맡았어요. 그래서 사비나가 법명인 줄 아시는 분들도 있는데 세례명이에요. 제 아들 이름과 세례명은 김대건 안드레아고요.(웃음)”
윤 대표는 “이번 연극을 통해 김명순의 존재를 알리고, 우리도 시대가 그어놓은 한계에 갇혀 살아가고 있지 않은지 성찰하는 화두를 던졌다면 목표는 이룬 것”이라고 했다. 남은 바람이 있다면. “창작자들이 한마음으로 열심히 만들었고, 관객분들도 좋아해 주셨어요. 훗날 좋은 계기가 생겨서 더 많은 분이 이 작품을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
연극 ‘의붓자식’ 공연 장면. 윤사비나 대표는 “관객이 주인공의 인생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객석을 모두 비우고 무대 위에 관객을 위한 의자 100개만 뒀다”고 설명했다. 문화다방 이상한 앨리스 제공
염지유 기자 gu@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