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최근 이화여대가 이화여대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조사대상자의 30% 이상이 결혼 후에도 「자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해 충격을 주고 있다. 「자녀출산 계획과 한국사회의 출산.양육환경」에 관한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의 31.5%인 63명이 「자녀를 가질 계획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발표됐다.
자녀계획을 갖지 않는 이유로는 「자녀양육의 경제적 부담이 크고, 사회제도 및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 33.3%로 가장 많았다. 「육아 보다 자아실현이 우선」(20.6%) 「결혼하지 않을 것」(19%) 등이 그 다음 이유다.
「한국사회의 출산 및 양육환경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92%인 절대 다수가 「불만족스럽다」고 답해 출산기피의 사회적 원인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출산의 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선택의 문제만이 아님을 확인시켜준다. 아이를 낳고 싶어도 낳을 수 없는 사회적 환경이 출산을 망설이게 한다. 출산기피 현상을 더 이상 개인주의의 팽배나 물질중심 사고의 만연과 같은 피상적인 논리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저출산문제가 사회적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문제의 해답 역시 여대생들의 응답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된다. 「우리 사회의 출산과 양육 환경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70% 가까운 137명이 「기업 차원의 제도 개선(출산수당확충, 탁아시설 확대)」을 꼽았고 「출산 후 보육?교육문제에 대한 남녀 공동책임의식 확산」이 뒤를 이었다. 여성의 사회진출 문제와 더불어 출산과 양육의 문제도 일과 보육을 병행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교회는 가정정책과 관련해 늘 보조성의 원리를 강조해왔다. 지난 83년 교황청이 발표한 「가정권리헌장」은 『공권력은 그릇된 방법으로 생명전달에 통제를 가해서는 안되며…국가가 자원을 보존하고 보호하듯이 인간출산을 더더욱 장려하고 보호하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저출산에 따른 사회적 파장과 예견되는 사회문제들은 익히 강조되어 왔다. 문제점만 되뇌일 것이 아니라, 시.구 단위의 탁아시설을 확충하고 다자녀 가정의 육아를 정부와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지는 보다 명확한 대응책이 실현될 때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