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칼럼에서 말했듯이 사실 자체를 꾸며낸 ‘가짜뉴스’는 식별해내기 어렵다. 이용자는 물론,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언론인이나 언론학자들도 ‘콕’ 집어내기가 쉽지 않다.
우리 교회에서는 이런 방안 제시도 있었다.
‘진리에 대한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독서를 통한 인문학적 감수성 키우기….’
지극히 타당한 말이지만 이는 원론일 뿐이다. 미디어 이용자들에게는 구체적 실용방안이 필요하다.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의 상설기구인 팩트체크 오알지(FactCheck.org)는 SNS 이용자들이 가짜뉴스를 식별해낼 수 있는 실용적 방안 8가지를 제시해놓고 있다.
“정보의 출처를 살펴본다. 기사의 제목뿐 아니라 본문 내용을 꼼꼼히 읽는다. 작성자를 확인한다. 근거정보가 맞는지 확인한다. 기사의 날짜를 확인한다. 풍자성 글인지 확인한다. 당신의 선입견은 없는지 점검한다. 전문가나 팩트체크 사이트에 물어본다.”
유효한 방안들이다. 하지만 뉴스를 접한 이용자가 당장 적용하기에는 너무 까다롭고 번거롭다. 가령 이용자가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는 뉴스가 아니라면, 여러 뉴스들의 작은 사실 하나를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기사 작성자와 근거정보를 일일이 확인할 수 있을까. 전문가나 팩트체킹 사이트에 물어보는 것도 유효한 방법이지만 이 역시 많은 기사에 일일이 대입하긴 어렵다.
특히 팩트체킹 사이트 이용 방법은 실상 그리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지난 2016년의 미국 대선후 앤드류 게스(Andrew Guess)팀이 2525명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뉴스를 접하면서 팩트체킹 사이트를 한 차례 이상 이용했다고 응답한 이는 네 명 중 한 명에 불과했다. 오히려 이용자들은 가짜뉴스의 잘못된 정보가 자신의 세계관과 맞아 떨어질 경우 무조건 이를 믿으려고 하는 심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사회심리학적으로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하는데, 이럴 경우 팩트체킹 시스템은 더욱 소용이 없게 된다.
가짜뉴스 식별에 관한 한, ‘비결’은 없으며 ‘안목’의 힘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 그 안목의 힘을 키우는 도구가 바로 신문윤리 등 기존 보도 윤리이다.
가짜뉴스라고 하면, 좁게는 사실자체가 허위인 뉴스를 말하지만 지나치게 왜곡하거나 과장한 뉴스나 취재원을 밝히지 않은 뉴스, 비판대상자의 해명을 게재하지 않는 뉴스 등도 경우에 따라 가짜뉴스에 포함되고 있다. 저널리즘의 기본 3대 원칙은 정확성과 객관성, 공정성이며 보도윤리는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 취재·보도 행위에 대한 강령과 요강을 규정하고 있다. 즉, 이를 어긴 정도의 차이에 따라 가짜뉴스가 되기도 하고 부실한 뉴스, 못 믿을 뉴스, 표절뉴스도 되는 것이다.
보도윤리는 세계의 언론계와 언론학계가 오랫동안 구축해온 저널리즘의 틀이다. 미디어 이용자들이 이같은 틀을 이해하고 있으면 가짜뉴스에서 부실한 뉴스까지, 뉴스의 질적 수준을 어느 정도 식별할 수 있다.
보도윤리 중에서도 우선 주목해야 할 대목은 ‘취재원을 밝혀야 한다’는 규정. 보도기사가 소설이나 시, 수필과 같은 창작물이 아닌 이상, 기사에 담은 어떤 사실에 관해서는 반드시 ‘과연 누가 그렇게 말했는지’ 그 취재원을 밝혀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취재원을 드러내지 않는 기사가 너무나 많다. 각종 미디어의 수가 늘어날수록 취재원을 밝히지 않는 기사도 더욱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물론, 이 중에는 가짜 뉴스와 부실한 뉴스가 상당히 많다.
취재원을 밝히지 않는 형태도 여러 가지다. 그중 문장에서 취재원(행동주체)을 밝히지 않고 “~~알려졌다” “~~전해졌다” “파악되고 있다”는 등 피동형 종결어미를 쓰는 경우가 가장 많다. 심지어 “~~점쳐지고 있다”는 표현도 자주 쓰인다.
▲그가 알고 있는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의 활동 내용이 어떤 것인지 등을 신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드루킹’ 김동원(49·구속)씨의 여론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허익범 특별검사팀이 드루킹 부인 최모씨를 최근 비공개 소환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폭발이 직원들 퇴근 시간대인 오후 4시30분에 발생한 것으로 미루어, 직원들을 겨냥한 테러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감사관실의 조직 흔들기도 점쳐지고 있다.
도대체 누가 알리고. 전하고, 파악했다는 말인지, 또 점을 친다는 것인지? 이들은 정확한 사실이 아니다. 확인취재가 덜 돼 기자의 추측 단계에 머물고 있는 불완전 뉴스다.
■ 외부 필진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