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훨씬 덜해졌지만 몇 년전까지만해도 외국에 유학을 갔다 오거나 연수를 갔다온 지식인들이 우리의 후진성을 개탄할 때마다 쓰는 상투어로 선진외국에선 어쩌구 저쩌구…하는게 있었다. 물론 우물 안 개구리를 벗어나 넓은 세상의 이모저모에 우리들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건 중요한 일이고 그렇게 비춰본 우리들 모습의 초라함에 충격을 받는 것도 발전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거쳐야할 과정이라는 걸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지식인들의 그런 말투에선 자신만은 우리 모두의 후진성이나 초라함과 무관하다는 교만한 착각 같은게 느껴져서 아니꼽게 들릴 때가 많았다.
그래서 그랬던지 내가 처음으로 유럽여행을 하게 되었을 때 속으로 벼른 것도 많이 봐두리라는 생각보다는 아무리 좋은 걸 봐도 쇼크 안 받기와 돌아와서 밖에서 본거 풍기지 않기 였다. 내가 한 친구에게 나의 이런 유치한 결심을 얘기했더니 그건 외국문화에 맹목으로 심취하는 것보다 더 나쁜 열등감이라는 핀잔을 들었다.
막상 밖에 나간 나는 그들의 잘 사는 모습에 정말 놀라지 않았다. 정말 놀랄만한 건 그들이 지니고 있는 문화 유산이었지만 우리가 그 방면에 있어서 그들과 비교가 안 된다는 건 미리 알고 있었던 거고, 적어도 현재의 사는 모습에 있어서만은 우리도 세계 수준이었기 때문에 놀랄게 없었다. 그땐 벌써 겉으로 어느 선진국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었다. 그 무렵 한창 유행하던 『잘 살아보자』는 구호를 마침내 현실로 움켜쥔 감격을 만끽하려는 듯 우리 모두가 외면치레에 급급할 때였다.
그 후 다시 몇 년 후 일본구경을 갔을 때는 열등감은 커녕 그들의 사는 겉모습이 우리보다 훨씬 궁상맞음을 딱하게 여겼다. GNP가 뭔가 하는게 우리의 몇 배라면서 왜 이렇게 못살까가 수상하기도하고 우리처럼 화끈하게 잘 살지 못하는 그들이 딱해 보이기도 했던 것이다.
재작년에 다시 일본에 가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쪽의 어떤 재단의 초청이어서 보고 싶은 걸 미리 신청하면 가능한한 다 보여주겠다고 했다. 그때도 철없이 여기저기 명승지만 열거하고 맨 나중에 심신장애자를 위한 특수학교를 보고 싶다고 신청했다. 내 가장 친한 친구가 뇌성마비 아들 때문에 얼마나 고통 받고 온갖 수모를 겪어야했는지 지켜보면서 같이 분통도 터뜨리고 우리 사회를 원망도 많이 했기 때문에 그 나라에선 그런 장애자를 어떻게 돌보고 있나 알고 싶었던 것이다.
그쪽에선 나를 그런 특수학교에 안내하기 전에 내가 신청서에 써낸 시설이 중(中)정도라는 단서가 무슨 뜻인지 물었다. 나는 재단이 너무 풍부하여 호화롭게 운영하거나 너무 영세하여 궁핍하게 운영하는 시설말고 중간정도의 시설을 보고싶다고 했다. 그랬더니 동경도내의 구(區)마다 하나씩 있는 심신장애자 시설은 다 도립(都立)이기 때문에 각기 특성은 있지만 빈부나 우열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했다. 나는 좀 머쓱해져서 그럼 변두리의 어려운 동네에 위치한 학교를 보여달라고 했다.
학년으로는 중고교의 과정에 해당하는 장애자 교육기관인 어느 도립(都立) 양호학교에서 나는 비로소 이게 정말 잘 사는거로구나! 충격을 받았고 감동했고, 그리고 열등감을 느꼈다. 우리의 부유층이 그들의 부유층보다 몇 배 잘살고 또 스포오츠로 자주 국위를 선양하고 곧 올림픽의 개최국까지 된다는 걸 아무리 상기해도 열등감은 덜어지지 않았다.
그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풍족하게 쓰고 있는건 우리와는 질적으로 다른거였기 때문이다. 그 학교는 넓고 밝고 세심하고 어떤 종류의 장애자도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완벽하게 친절한데도 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일인일기를 가르칠 전문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장애자를 고용함으로써 세제혜택을 받고자하는 기업체와 연결돼 있어서 졸업생의 장래까지도 책임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부모들은-그날이 마침 자모회 날이었다-아이들을 더 행복하게 해줄 것을 당당하게 요구하고 있었다. 그 시설이 어느 누구로부터의 시혜(施惠)도 아닌 국민세금으로 된거니 그럴 수 밖에. 나를 안내해준 이는 머리가 히끗히끗한 마음씨 좋아보이는 노인이었는데 어찌나 명랑하고 부지런한지 안내를 하면서도 아이들하고 장난도 치고 떨어뜨린 걸 줍고 비뚤어진 걸 바로잡고 하는거라 오래 근무한 소사인줄 알았다. 그러나 그 분이 바로 교장 선생님이었다.
아이들과 함께 식당에서 맛있고 풍성한 점심을 먹고 소녀들이 직업교육을 받고있는 재봉실을 돌아보았다. 뇌성마비 소녀가 네모난 주머니를 하나 재봉틀로 박음질하는데 드는 남다른 노력은 눈물겹도록 처절한 것이었다.
소녀는 그 각고의 대작을 선뜻 나에게 선물로 주었다. 천사같은 얼굴이었다. 나는 내 친구 아들의 일그러지고 그늘진「병신」다움이 떠올라 가슴이 저렸다. 우리의 정박아가 천사같지 못한게 어찌 그 부모탓만이랴. 우리 모두의 정말 관심있어야 할 곳에 대한 무관심, 인간다움보다는 물질적인 것에 대한, 내면보다는 외양에 대한 열광이 남은 능히 천사같은 인간으로 가꿀 수 있는 장애자를「병신」으로 방기한게 아닐까.
나는 그때 선물 받은 걸 지금도 간직하고 있고 천사의 주머니라고 부르면서 미사포 주머니로 쓰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