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정치인은 권력을 얻는다는 그 자체에 상당한 가치를 부여하는가 보다. 국회의원이 차관보 정도로 격하되고 그 권한이 무참히도 축소되었지만 그 사람 그 얼굴은 또다시 후보로 나서서「안정」을 외치고「견제」를 외치고「선명」외치고 있다. 누가『선거는 민주주의의 축연』이라 했던가. 그래서 그런지 흑색선전과 비방과 매수와 폭력은 거의 없어졌다. 그렇다고 축제기분은 전혀 느낄수 없는 것은 선거운동이 음성적인 「눈치운동」으로 변한 때문만도 아닐것 같다. ▲이번 선거는 특히 유권자들의 무관심도가 높은것이 특색일성 싶다. 유권자들의 관심이「의외로」고조되고 있다는 보도는 뿌리깊은 유권자의 무관심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말이 아닐까? 정상배와 반 민주적인 체제는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속에 잉태된다는 점에서 볼 때 이같은 무관심은 진정 우려가 되는 요소가 아닐수 없다. 대중소비사회의 대중은 자기 외에도 유권자가 많고 소비문화에 심취해 있기 때문에 이같은 무관심은 당연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한국국민이 어디 소비를 미덕으로 하는 풍요한 사회의 국민인가. ▲정치에의 관심도가 이처럼 급강하된 현상은 정치지도자의 빈곤과 특히 지도자의 인격적 빈곤에 그 일차적인 원인이 있을것이다. 「국민의 양심」을 자부할수 있는 지도자들이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속에서 자칭 지도자들이 연발하는 언어의 사기행각에 멍들대로 멍든 국민이 정치에 무슨 관심이 있겠는가. 이같은 무관심은 흐르는 물에서만 느낄수 있는 깨끗하고 신선한 맛을 도저히 맛볼수 없는데도 그 원인이 있을것이다. 특히 이번 국회의원 선거는 국민의 신임과 기대와는 아무상관도 없는것 같은 인상이 드는걸 어쩔수 없다. 비상국무회의에서 통과된 국회법에 의하면 국회의 기능이 대폭 축소되어「있으나 마나 한 국회」가 될 것이 뻔하다는데 그토록 국회의원이 되려고 기를 쓰는 저의에 의아심을 가지는 것이다. 유권자들은 『여러분의 재물이 있는 곳에 여러분의 마음도 있습니다』는 말을 상기할지 모른다.
▲사리욕을 공동선보다 앞세우는 정치지도자들이 난무하는 사회에서 국민은 정치적인 신념과 의리와 도덕적 가치를 상실하게 마련이다. 투표일이 되면 고귀한 모든것을 잃고 정신적인 무정부 상태에 빠져있던 유권자는 방향감각이 혼미한 기로에서 서성거릴 것이다.『다시 또 투표를 해야하나? 도대체 관심을 가지기가 싫다. 그렇다고 안 가질수도 없다. 참으로 답답하고 묘한 심정이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