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 영화 중에 ‘에덴의 동쪽’이 생각났습니다. ‘에덴의 동쪽’은 미국 작가 존 스타인벡의 소설을 영화화한 것입니다. 그 유명한 제임스 딘이 처음으로 주연을 맡았던 작품이기도 합니다. 사랑받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망을 창세기에 나오는 카인과 아벨에 빗대어 만든 작품이었습니다. 영화에서는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형과 그런 형을 편애하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 때문에 죄를 짓고 마는 동생의 모습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후 아버지와 그 아들은 서로 용서하고 화해를 하게 됩니다. 창세기에서는 형인 카인이 죄를 짓는데 영화에서는 동생이 죄를 짓는다는 점이 다릅니다.
한때 영화의 제목이 왜 ‘에덴의 동쪽’이었을까 생각해 봤던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성경을 읽다가 “카인은 주님 앞에서 물러 나와 에덴의 동쪽 놋 땅에 살았다”(창세 4,16)는 구절을 통해 ‘에덴의 동쪽’은 죄를 지은 자들이 몰려 살던 지역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임을 알게 됐습니다.
‘에덴 동산’과 ‘에덴의 동쪽’. 단어의 차이는 작지만 그 의미가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에덴 동산’이 하느님의 보호를 받던 천국과도 같은 곳이라면 ‘에덴의 동쪽’은 하느님의 보호를 걷어차고 죄악의 길로 접어든 인간이 쫓겨나 살던 곳이니 말입니다.
한편 우리에게는 ‘동쪽’이라는 단어가 상당히 친숙합니다. 인도의 시성 타고르는 일제 식민치하 암울함에 빠져 있던 우리나라를 위해 ‘동방의 등불’이라는 제목의 시를 지은 바가 있고, ‘조국찬가’라는 노래에는 ‘동방의 아름다운 대한민국 나의 조국’이라는 가사도 나옵니다. 그만큼 우리의 지역적 위치인 아시아의 ‘동쪽’은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상황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새로운 정부의 출범에 맞춰 강대국들은 우리에게 한쪽에 설 것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도 외교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고 있지만 강대국들 사이에서 녹록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미 군사안보 분야를 넘어 경제 분야에까지 선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세계화’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됐던 지구촌이 이제는 ‘신안보’ 개념으로 충돌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문제는 한쪽을 선택하면 그만큼 다른 쪽의 불만도 커진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이 순간을 지혜롭게 대처해 ‘에덴의 동쪽’이 아니라 ‘동방의 등불’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박천조 그레고리오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