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창공과 희망과 그리고 인간을 사랑하라』 적요한 금빛 가을낮, 토담위에 시든 호박넝쿨위로 뻗은 끝없이 푸른 창공을 바라보면 문득 그런 시절(詩節)이 떠오른다. 비록 얻은것 없고 생의 인고를 겪을지라도 사람은 아름다운 자연에 접할때 잠시나마 생의 행복과 보람을 느낄 때가 있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부질없이 확대되고 주장되는 현대에서 누구의 말처럼 개인의 행복을 추구함이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닌 것이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기 한 개인의 행복만이 유일한 목표가 될 수 없는데 또 하나의 현세적 갈등을 겪게되는 모양이다. ▲부하장병들의 목숨을 건지기 위해 횡탄(橫彈)을 안고 산화(散華)해 버린 고 강재구 소령의 죽음 앞에 사람들은 오랜만에 진정한 울음을 울고 싶었으리라. 그리하여 이 슬프고도 장엄한 젊은 죽음이 남긴 감동은 온 겨레의 가슴속에 끝없이 여울져 간다. ▲위대한 인간이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생사의 위기에 마주쳤을때 『껍데기(개인)를 벗어버리고 그 속에 잠재해 있던 진정한 인간의 부르짖음에 끝까지 충실하게 책임지는 인간』이란 말이 있듯이 과연 그의 죽음은 인생의 진정한 뜻이 무엇이며 또한 거기 대한 어쩔 수 없는 성실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허지만 죽음으로 치닫는 그 순간에도 그의 백열하는 의식 속에는 현세적인 온갖 애착, 그리고 긴 과거가 찬라로 흘러갔으리라. 이런 인간 조건을 극복하고 통열한 육체적 죽음을 넘어 그의 심령은 인간 최고의 결승점에 도달한 것이다. ▲개인주의로 인한 기껏 소시민적 행복추구가 아니면 생의 이상이나 목적도 없이 허탈에 빠진 현세에 있어 이러한 자아전멸의 희생정신은 그 시대에 각성제며 계시적인 역할이 아닐 수 없다. 허나 실로 고매한 이념일수록 그 실행에 있어 흘린 핏자국은 고뇌의 극에 도달하고 또 좌절된 그의 청춘도 인간적으론 애달픈게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사람은 꽃도 창공도 희망조차 사랑하나 그와 가장 가까운 인간을 사랑하기는 얼마나 힘든 것인가. 이 궁극의 사표가 『벗을 위해 자기목숨을 바치는 것 보다 더큰 사랑은 없다』고 가르치고 또한 스스로 제헌한 그리스도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대가 우리에게 주신 인생은 충분히 살게 하소서, 우리로 하여금 용감히 취하고 용감히 죽게 하소서』 (타골)